쌓임 맥락은 HTML요소가 화면에 쌓이는 방식을 정의하는 개념입니다. 태그들을 쌓아 올리는 도화지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.
특정 요소가 새로운 쌓임 맥락을 생성하면, 그 요소와 그 자식 요소들은 다른 쌓임 맥락을 가진 요소들과는 독립적으로 쌓이게 됩니다! 그래서 어떤 경우에는 아무리 z-index를 z-index: 999까지 높은 숫자로 정해주어도 원하는 쌓임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새로운 쌓임 맥락은 다음 경우에 생성 된답니다. (지금은 이런게 있구나~ 하고 넘어가주세요!)
position 속성이 relative, absolute, fixed 인 경우: z-index 가 설정된 경우에만 새로운 쌓임 맥락이 생성됩니다.opacity 가 1보다 작은 경우: opacity 속성이 1보다 작으면 해당 요소는 새로운 쌓임 맥락을 생성합니다.transform, filter, perspective 속성이 설정된 경우: 이 속성들이 적용된 요소도 새로운 쌓임 맥락을 만듭니다.아래 예시에서, 모든 요소는 각자의 포지션과 z-index로 인해 자신의 쌓임 맥락을 형성합니다.
루트
DIV #1
DIV #2
DIV #3
DIV #4
DIV #5
DIV #6

<!DOCTYPE html>
<div id="div1">
<h1>Division Element #1</h1>
<code
>position: relative;<br />
z-index: 5;</code
>
</div>
<div id="div2">
<h1>Division Element #2</h1>
<code
>position: relative;<br />
z-index: 2;</code
>
</div>
<div id="div3">
<div id="div4">
<h1>Division Element #4</h1>
<code
>position: relative;<br />
z-index: 6;</code
>
</div>
<h1>Division Element #3</h1>
<code
>position: absolute;<br />
z-index: 4;</code
>
<div id="div5">
<h1>Division Element #5</h1>
<code
>position: relative;<br />
z-index: 1;</code
>
</div>
<div id="div6">
<h1>Division Element #6</h1>
<code
>position: absolute;<br />
z-index: 3;</code
>
</div>
</div>
* {
margin: 0;
}
html {
padding: 20px;
font:
12px/20px Arial,
sans-serif;
}
div {
opacity: 0.7;
position: relative;
}
h1 {
font: inherit;
font-weight: bold;
}
#div1,
#div2 {
border: 1px dashed #696;
padding: 10px;
background-color: #cfc;
}
#div1 {
z-index: 5;
margin-bottom: 190px;
}
#div2 {
z-index: 2;
}
#div3 {
z-index: 4;
opacity: 1;
position: absolute;
top: 40px;
left: 180px;
width: 330px;
border: 1px dashed #900;
background-color: #fdd;
padding: 40px 20px 20px;
}
#div4,
#div5 {
border: 1px dashed #996;
background-color: #ffc;
}
#div4 {
z-index: 6;
margin-bottom: 15px;
padding: 25px 10px 5px;
}
#div5 {
z-index: 1;
margin-top: 15px;
padding: 5px 10px;
}
#div6 {
z-index: 3;
position: absolute;
top: 20px;
left: 180px;
width: 150px;
height: 125px;
border: 1px dashed #009;
padding-top: 125px;
background-color: #ddf;
text-align: center;
}
DIV#4 ,5,6 은 DIV#3의 자식이므로 DIV #3 내부에서만 쌓임을 처리했다는 것을 이해하는것이 중요합니다!